의령 의병박물관, 경남 공립박물관 평가 1위·관람객 2위...성장세 뚜렷 | 사회

본문 바로가기

메인 롤링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
의령 의병박물관, 경남 공립박물관 평가 1위·관람객 2위...성장세 뚜렷
기사입력 2025-11-27 14:27   최종편집 경남우리신문
작성자 신석철

본문

[경남우리신문]의령군 의병박물관이 문화체육관광부가 실시한 2025년 공립박물관 평가인증에서 2회 연속 경남 군부 1위를 차지했다고 27일 밝혔다. 관람객 지표에서도 높은 성과를 보이며, 2024년 1월 기준 경남 43개 등록 공립박물관 중 연간 관람객 2위(208,694명)를 기록했다.

 

1994182814_GTIguWt3_46b6b290845ce01b55a3
▲의병박물관 전경     ©경남우리신문 편집국

의병박물관 관람객 수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21년 101,031명, 2022년 183,450명, 2023년 208,694명, 2024년 247,851명으로 성장세를 이어왔으며, 2025년 10월 말 기준 224,385명을 기록해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경남 중심에 위치한 뛰어난 접근성과 주제의 독창성도 주요 경쟁력으로 꼽힌다. ‘의병박물관’이라는 명칭은 지역명을 앞세운 일반 공립박물관과 달리, 박물관의 주제와 고유성을 이름만으로도 선명하게 전달한다. 이러한 차별화가 방문 인지도를 높이고 역사·관광 수요를 동시에 견인하는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공립박물관 평가는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에 따라 3년 주기로 전국 공립박물관을 대상으로 운영 내실을 점검하는 제도다. 이번 평가는 시설·운영, 전시·교육, 자료 조사·연구, 관람객 서비스 등 주요 기능을 종합적으로 심사했으며, 의병박물관은 모든 분야에서 고르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94182814_t0Pq2TRb_133cb21118935eab78c2
▲지난해 10월 31일 의병박물관 제2전시관 개관식에 오태완 군수가 박물관을 둘러보고 있다     ©경남우리신문 편집국

한편 의병박물관은 2024년 제2전시관을 개관하며 ‘의병종합박물관’으로 도약할 기반을 구축했다. 민선 8기 공약이었던 제2전시관 개관을 통해 기존 제1전시관이 곽재우 장군을 중심으로 한 임진왜란 의병사를 다뤘다면, 제2전시관은 항일의병과 독립운동까지 확장해 의병의 전 역사를 아우르는 전시 체계를 완성했다.

 

박물관 반경 20분 내에는 충익사, 구름다리, 솥바위, 이병철 생가 등이 위치해 ‘20분 관광권’ 중심지로서 역사·관광·체험 복합 방문 효과가 뛰어나다.

 

의병박물관은 이번 평가에서 서면 심사와 현장 확인을 거쳐 최종 인증을 획득했으며, 3년간 유효한 우수기관 인증서를 받았다. 이 성과를 기반으로 향후 콘텐츠 경쟁력과 관람객 서비스를 더욱 강화해 의령군의 역사·문화적 위상을 더욱 높여갈 계획이다.

 

오태완 군수는 “공립박물관 평가 1위는 의령의 의병정신을 계승시키기 위한 노력과 박물관 운영의 전문성이 국가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며 “제2전시관 개관을 계기로 전시·교육·연구 기능을 더욱 강화해 군민과 방문객 모두가 찾고 싶은 박물관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스토리로 보내기
  • 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 블로그로 보내기
  • 인쇄하기
많이 본 뉴스
신문사소개 | 기사제보 | 광고문의 | 불편신고 | 저작권문의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 무단 수집거부
본사: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산호동5길 18 2층 ㅣ 대표전화 : 070) 4038-2583ㅣ 팩스 : 070) 4300-2583 ㅣ 편집국 전화 : 0505) 871-0018ㅣ등록번호: 경남 다 01458ㅣ등록일자: 2012.01.31 ㅣ회장:박대홍ㅣ발행/편집인:안기한 ㅣ 편집국장: 김호경ㅣ법률고문:박종호 변호사ㅣ청소년보호책임자:안기한 ㅣ기사배열 책임자:황미현 ㅣ경남우리신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 을 금합니다.ㅣ 자매지:창원times,시사우리신문 ㅣ 기사제보 : agh0078@hanmail.net
Copyright ⓒ 2017 경남우리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