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뇌혈관질환 예방의 첫걸음, 혈관 건강부터 챙겨야! | 건강

본문 바로가기

메인 롤링

사이트 내 전체검색
건강
심뇌혈관질환 예방의 첫걸음, 혈관 건강부터 챙겨야!
기사입력 2025-09-05 17:53   최종편집 경남우리신문
작성자 황미현

본문

[경남우리신문]매년 9월 첫째 주는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이 지정한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주간이다. 올해도 질병관리청은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합동으로 ‘자기혈관 숫자알기, 레드서클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다. 건강한 혈관을 의미하는 레드서클(Red Circle) 캠페인은 혈압·혈당·콜레스테롤 수치를 정확하게 알고 관리하면 심뇌혈관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취지로 2014년부터 진행되었다.

 

1994182814_y3rjGbYA_3a442aa9d044246758ba
▲울산엘리야병원 내과 조종대 의무원장     ©경남우리신문 편집국

심뇌혈관질환은 심근경색, 협심증 등 심장질환, 뇌졸중 등 뇌혈관질환,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 선행질환을 모두 포함한다. 특히 최근에는 식습관, 만성질환, 비만 등의 영향으로 20∼40대 성인에서도 심뇌혈관질환이 증가하고 있지만 본인의 건강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해 방치하다가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알려진 고혈압은 뚜렷한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동맥경화, 심근경색, 뇌경색, 부정맥, 협심증 등 생명과 직결된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침묵의 살인자’라 불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건강보험 통계에 따르면 70세 이상은 87.1%의 환자가 본인이 고혈압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던 것에 비해 40대는 절반, 30대는 4명 중 1명, 20대는 5명 중 1명만 알고 있었다. 30대 성인 100명 중 10명이 고혈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중 7∼8명은 본인이 고혈압 환자인지 모르고 있다는 의미다.

 

고혈압은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주로 적은 신체활동, 스트레스, 비만, 흡연, 알코올 섭취, 고령 등을 위험 요인으로 보고 있다. 대부분의 고혈압 환자는 평생 혈압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고혈압이 발병하면 반드시 평소 생활 습관을 개선해야만 한다. 체중을 줄여서 적정체중으로 관리하고 음식 섭취는 되도록 싱겁게 먹고, 담배와 술을 끊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혈압 조절에 도움이 된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약물치료로 혈압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자신의 정확한 혈당을 알고 관리해야하는 이유는 당뇨병이다. 당뇨병은 가장 흔한 만성질환이지만 그만큼 치료도 힘들기 때문에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부족하거나 우리 몸에서 제대로 작용하지 못해 혈액 속의 혈당이 에너지로 이용되지 못하고 혈액 속에 쌓이는 질병이다. 우리 인체는 섭취한 포도당을 에너지로 쓰기 위해서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 반드시 필요한데 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서 당뇨병이 발생하는 것이다.

 

당뇨병을 방치할 경우 뇌경색, 심근경색 등 심뇌혈관질환 및 발 궤양, 시력 저하, 콩팥 기능 저하, 신경 통증 등 다양한 합병증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당뇨병 진단을 받았을 경우 당뇨병 치료 이외에도 합병증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울산엘리야병원 조종대 의무원장(내과 전문의)은 “해마다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지만 초기에 특별한 증상이 없다보니 평소 병원을 찾지 않는 분들은 증상이 심각해진 뒤에야 병원을 찾아 약물 치료를 받는 경우가 많다”며, “최근에는 혈압이나 당뇨를 간단하게 집에서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비도 대중화되고 국가건강검진의 기회도 많아졌기 때문에 이를 통해 수시로 본인의 혈관 건강을 확인해 이상이 있다면 병원을 찾아 조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더 큰 합병증을 예방하는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1994182814_LpP8MiI4_5cfd5177c666445e136c
▲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경남우리신문 편집국

한편 질병관리청은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을 발표했다. 금연, 금주, 식습관 및 생활습관 개선, 규칙적인 운동, 체중 및 스트레스 관리 등을 꼽았으며 평소 정기적으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를 측정하고 사전에 뇌졸중, 심근경색 등의 증상으로 알아두고 응급 상황에서는 주변에 알려 119 등을 통해 신속하게 가까운 병원 응급실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스토리로 보내기
  • 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 블로그로 보내기
  • 인쇄하기
많이 본 뉴스
신문사소개 | 기사제보 | 광고문의 | 불편신고 | 저작권문의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 무단 수집거부
본사: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산호동5길 18 2층 ㅣ 대표전화 : 070) 4038-2583ㅣ 팩스 : 070) 4300-2583 ㅣ 편집국 전화 : 0505) 871-0018ㅣ등록번호: 경남 다 01458ㅣ등록일자: 2012.01.31 ㅣ회장:박대홍ㅣ발행/편집인:안기한 ㅣ 편집국장: 김호경ㅣ법률고문:박종호 변호사ㅣ청소년보호책임자:안기한 ㅣ기사배열 책임자:황미현 ㅣ경남우리신문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 을 금합니다.ㅣ 자매지:창원times,시사우리신문 ㅣ 기사제보 : agh0078@hanmail.net
Copyright ⓒ 2017 경남우리신문. All rights reserved.